Science with purpose.
From design to clinic delivering targeted therapies that matter. Explore our research and breakthroughs.
EGFR
NSCLC
HER2 Positive
Solid Tumor
VRN10은 경구 투여로 개발 중인 표적 치료제로, HER2에 선택적 약물입니다. 다양한 HER2
mutation 뿐만 아니라 HER2 amplification과 overexpression에 효과적입니다.
VRN10은 높은 선택성으로 인해,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이 높습니다.
임상 1a상 시작 용량인 80mg부터 HER2 고형암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췌장암
환자(HER2 S310F)의 경우 종양이 3주 투약 만에 감소(-26.7%)하였으며, 위암 환자(HER2
IHC2+/DISH-)의 경우 4주만에 급격히 자라던 암이 더 이상 자라지 않는 상태(Stable
disease)를 보였습니다.
임상 두 번째 용량인 160mg에서, 폐암 환자(HER2 S310Y)의 경우 유방과 간으로 전이된
상황이었으나, 임상 참여 6주만에 폐에 있던 종양은 완전히 사라졌고, 유방과 간에 있던
종양도 모두 감소(-28.6%)하였습니다. 다른 유방암 환자(HER2 V777L)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간으로 전이된 두 종양 모두 감소(-24.2%)하였습니다.
뛰어난 효능에도 불구하고 아직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Phase 1a 임상은 더 이상 치료 옵션이 없는 다양한 HER2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입니다. 160mg에서 항종양 효과를 확인한 두 환자의 경우, 각각 7가지와 5가지 종류의
항암 치료를 앞서 받았습니다. 그리고 임상 참여 직전에 마지막으로 받은 항암 치료가
엔허투(T-DXd)입니다.
엔허투 저항성을 가진 암세포를 제작하여, 세포 실험(in vitro)과 동물 실험(in vivo)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한 바있습니다.
유방암은 뇌전이 비율이 높은 암이므로, 뇌혈관장벽을 투과하는 약물에 대한 미충족된
의료수요가 큽니다. VRN10은 뇌혈관장벽 투과율이 높습니다. 전임상 뇌전이 모델에서
Tucatinib, Neratinib, Zongertinib, Perzebertinib(ZN-A-1041), Trastuzumab 및 Enhertu에 비해
우수한 항종양 효능을 확인했습니다.
VRN10은 기존 HER2 치료제들의 다양한 한계를 모두 뛰어넘기 위해, 뛰어난 효능과
안전성을 목표로 개발한 약물로서 향후 임상을 통해 그 가치를 증명할 계획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터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PKMYT1
Solid Tumor
VRN16은 CCNE1 양성 고형암을 포함하여 합성 치사 (Synthetic lethality) 기전을 활용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경구 투여 항암제입니다.
CCNE1 증폭은 전체 고형암 환자의 약 8%에서 발견되며, 특히 난소암과 자궁암에서는 30% 이상, 위암 14%, 유방암 8% 등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중요한 종양 유발 인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에 대한 표적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매우 큰 미충족 수요가 존재해 왔습니다.
VRN16은 월등한 선택성과 내약성, 뛰어난 항암 효능을 비임상 시험에서 입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약물과는 명확히 차별화된 약물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VRN16은 CCNE1 양성 고형암 환자들에게 내약성과 효능이 모두 뛰어난 새로운 표적치료제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PKMYT1 저해에 특이적인 신규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적응증 확장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USP1
Gynecologic cancer
Solid Tumor
VRN19는 경구 투여가 가능한 best-in-class USP1 저해제로, 합성 치사 (Synthetic lethality) 기전을 활용해 BRCA1/2 돌연변이를 가진 여성암 (난소암, 유방암 등) 및 고형암을 정밀하게 표적합니다.
기존 USP1 저해제들은 빈혈과 같은 혈구 독성 및 간독성으로 인해 내약성과 유효성에 제한을 보인 반면, VRN19는 탁월한 내약성과 강력한 항암 활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치료범위 (therapeutics window)를 가진 새로운 표적 항암제입니다.
기존 적응증 이외에 새로운 적응증 확장을 위한 바이오마커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PDGFR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약물을 폐동맥에 직접 전달함으로써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기존 치료제 대비 뛰어난 안전성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폐동맥 고혈압은 폐혈관의 혈관 재형성 (Vascular remodeling)으로 인해 폐동맥 내 혈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희귀질환으로, 현재까지도 근본적인 치료제가 부재한 상태입니다. 특히 PDGFR 경로는 혈관 재형성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표적하는 치료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존에 PDGFR 저해제로 알려진 글리벡(Imatinib)은 임상 3상(IMPRES-3 trial)을 통해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였지만, 경구 투여로 인한 전신 노출로 신경계 부작용 등 안전성 이슈를 유발하여 상용화에 실패했습니다.
VRN13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폐동맥에만 약물이 국소적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흡입 제형으로 개발되었습니다. 또한, VEGFR-2에 대한 억제 활성이 낮아 혈관 관련 부작용을 최소화하였고, PDGFR에 대해서 매우 높은 선택성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VRN13은 높은 안전성과 효능을 기반으로, 폐동맥 고혈압 치료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혁신신약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From design to clinic delivering targeted therapies that matter. Explore our research and breakthroug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