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염증 질환이란?
만성염증(chronic inflammation) 질환은 대표적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대장염, 건선, 퇴행성뇌질환 등이 있습니다.
급성염증에 비해서 경과가 길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자가면역(Autoimmunity)과 관련이 깊습니다.

시장 규모는?
대부분의 만성염증 질환은 염증 유발물질인 TNF-α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TNF-α는 다양한 면역세포에서 분비되며, 염증과 세포사멸, 발열반응 등을 유도하는 물질입니다. 이 TNF-α와 수용체를 표적하는 주사형 항체치료제 시장은 연간 30조원에 달합니다.
RIPK1의 차별성
TNF-α 신호전달 억제 기전의 표적치료제
RIPK1은 TNF-α에 의한 염증성 신호전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약물 표적입니다. 따라서 RIPK1의 활성을 억제할 경우 TNF-α에 의한 염증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RIPK1표적치료제의 경우 기존 항체치료제와 달리 경구 투여가 가능해 환자 편이성이 크게 개선되는 부가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치료제 개발 현황
경쟁사 개발 현황
RIPK1표적치료제 개발은 현재 미국 GSK社와 드날리社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GSK의 경우 2018년 현재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대장염, 건선에 대한 임상 2상을, 드날리의 경우 루게릭병(Amyotropic lateral sclerosis, ALS) 치료제를 개발을 위한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로노이 개발 현황
보로노이는 현재 비임상 후보물질들을 도출하여 만성염증 질환과 퇴행성뇌질환에 동시에 도전할 계획입니다. 만성염증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해 경쟁약물인 GSK의 GSK772대비 약효가 우월한 후보물질을 확보했습니다. 퇴행성 뇌질환은 뇌 혈액-뇌 장벽(Blood-Brain-Barrier) 투과도가 높은 후보물질 2종을 도출하여 개발을 진행중입니다. 2019년 하반기에는 최종후보를 확정하고 임상진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적응증 확대 가능성
TNF-α는 염증의 master key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학계의 보고에 따르면 경구용 RIPK1 타겟 약물은 안구건조증, 황반변성과 같은 안질환, 만성염증에 수반되는 간경화, 급성 췌장염, 장기 이식 등에서 문제가 되는 재괄류 손상(re-perfusion injury) 등에도 높은 약효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JW중외제약·보로노이, STAT3 표적의 항암혁신신약 개발 맞손
JW중외제약, 보로노이의 단백질 분해 기술 프로탁(Protein Degrader)을 접목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는 차세대 혁신신약 개발 추진
이노엔, 보로노이서 ‘선택적 RET 저해제’ 도입…항암신약 개발
이노엔(옛 CJ헬스케어) 보로노이 글로벌 항암신약 후보물질도입, 관련 시장은 2026년 2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
보로노이, 美오릭에 폐암 치료제 7200억 기술수출
EGFR/HER2 Exon20 ins. 돌연변이 폐암 및 고형암 치료 뇌 전이암까지도 치료 가능한 정밀 표적신약 美 나스닥 상장사 ORIC에 7200억원 기술이전
VRN07, EGFR exon20 insertion, 비소세포폐암
보로노이의 VRN07 프로그램은 EGFR Exon 20 insertion을 타겟하는 물질로서, 비소세포폐암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VRN07 프로그램은 현재 2개의 전임상후보물질을 두고 있으며, 한 물질은 뇌에 투과하지 않고 다른 한 물질은 뇌에 투과하는 물질입니다.
VRN02, DYRK1A, 만성염증성질환
보로노이의 VRN02 화합물은 DYRK1A를 타겟하는 물질로서, 만성 염증성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물실험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건선, 대장염,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주요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했으며, 타 염증성 질환으로 연구 확대 중입니다. 또한 VRN02 물질은 건선과 아토피 피부염 질환에 있어서 경구용 알약뿐만 아니라,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로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Scientific Advisor: Lillian L. Siu, M.D.
BMO Chair in Precision Genomics Professor of Medicine, Princess Margaret Cancer Centre, Toronto, Canada
Scientific Advisor: Pasi A. Jänne, MD, PhD
Dr. Jänne is the Director of the Lower Center for Thoracic Oncology at Dana-Farber Cancer Institute and a Professor of Medicine at Harvard Medical School.
VRN04, RIPK1, 염증성질환
보로노이의 VRN04 프로그램은 RIPK1을 타겟하는 물질로서, 염증성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급성 폐손상,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염증성 대장염에서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타 염증성 질환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VRN08, TTK, 삼중음성유방암
보로노이의 VRN08 프로그램은 TTK를 타겟하는 물질로서, 삼중음성유방암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향후 췌장암, 뇌암 등의 고형암으로 확장하려는 계획 중에 있습니다. 삼중음성유방암, 췌장암, 뇌암 등은 기존 출시된 표적치료제와 면역항암제 등이 반응하지 않는 영역으로,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입니다.
VRN03, Undisclosed, 비소세포폐암/췌장암/두경부암
본 프로그램은 비소세포폐암, 두경부암, 췌장암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비소세포폐암의 경우에는 기존 EGFR 표적치료제의 내성 발현 시기를 늦추기 위해, 병용요법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두경부암 및 췌장암에서는 단독요법으로 개발 중에 있습니다.
VRN02, DYRK1A, 만성염증성질환
보로노이의 VRN02 화합물은 DYRK1A를 타겟하는 물질로서, 만성 염증성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동물실험 결과,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건선, 대장염,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주요 염증 질환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했으며, 타 염증성 질환으로 연구 확대 중입니다. 또한 VRN02 물질은 건선과 아토피 피부염 질환에 있어서 경구용 알약뿐만 아니라, 피부에 바르는 외용제로도 개발할 계획입니다.
VRN01, LRRK2, 뇌종양
보로노이의 VRN01 화합물은 LRRK2를 타겟하는 물질로서, 뇌종양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뇌암 중에서도 가장 악성으로 알려진 교모세포종(GBM: Glioblastoma) 치료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VRN07, EGFR exon 20 insertion, 비소세포폐암
보로노이의 VRN07 프로그램은 EGFR Exon 20 insertion을 타겟하는 물질로서, 비소세포폐암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박준일/Head of Global Business(China and Emerging markets)
북경대학교를 졸업하고 10여년간 근무한 미래에셋 PEF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보로노이의 Globalization과 Value creation을 위한 전략 실행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보로노이, 뇌연구원서 ‘우울증 치료물질 탐색 플랫폼’ 도입” -바이오스펙테이터
보로노이가 한국뇌연구원(KBRI)으로부터 뇌질환 신약개발을 위해 ‘우울증 치료물질 탐색기술’ 플랫폼을 도입했다고 20일 밝혔다.
Nathanael Gray and Eric Fischer along with Deerfield Management create new Center for Protein Degradation at DFCI
Dana-Farber Cancer Institute and Deerfield Management announced today an up to $80 million collaboration to create the Center for Protein Degradation at Dana-Farber to be led by BCMP Faculty members, Nathanael Gray and Eric Fischer,.
‘분자모델링 전문가’ 김남두 AI연구소장, PhD
신약의 표적물질과 후보물질을 눈으로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 무작위적이고 직관적인 방법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기술입니다.
Nathanael Gray, PhD
Nathanael Gray is the Nancy-Lurie Marks Professor of Biological Chemistry and Molecular Pharmacology at Harvard Medical School and the Dana Farber Cancer Institute.
About VORONOI
보로노이 그룹은 모회사인 보로노이, 자회사인 보로노이바이오와
비투에스바이오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보로노이는 연구/개발 전단계에 함께하면서
임상개발을 주도하고 보로노이바이오는 분자모델링과 Kinase inhibitor,
비투에스바이오는 TPD를 전문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폐암 표적치료제, 내성 극복을 위한 도전
폐암 환자의 마지막 희망으로 알려진 타그리소도 약물의 반응 기간은 12.5개월에 불과합니다.
폐암 내성 극복과 더 나아가 완치를 목표로 병용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하버드 다나파버·보로노이, 신약 공동 개발을 위한 연구 계약 체결”-매일경제
국내 제약 기업 보로노이와 다나파버 암센터는 항암 신약 개발과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美 하버드 의대 암센터 기술 이식받는다, 보로노이 490억원에 이전 계약”-중앙일보
국내 제약 기업인 보로노이㈜는 미국 하버드대학 산하 다나파버 암센터로부터 파킨슨병 치료 후보물질을 기술 이전받는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